본문 바로가기

PIN 코드?? PUK 코드?? 요즘 대부분의 휴대전화는 가입자 식별 모듈(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즉 SIM 이라는 놈을 사용하고 있다.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해 SIM에 PIN코드(사용자가 임의로 정의할 수 있음) 로 lock 을 걸게 되면 재부팅을 할때마다 PIN코드 인증을 해야만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있다. 만약 PIN 코드 입력 시 3회 이상 틀리게 된다면?? PUK코드를 입력하여 PIN코드를 해제해야한다. PUK코드 입력이 10회 이상 틀리게 되면 SIM카드를 새로 발급받아야 하므로 주의해야한다. 이 PUK코드는 최초 대리점에서 휴대전화를 가입할 때 SIM카드가 붙어있는 플라스틱 조각에 적혀있다고 한다. 잘 모르는 사람들은 (본인 포함 -_-) PUK를 신경을 안쓰는 경우가 많은데 .. 더보기
리눅스에서 한글 입력 셋팅 vmware에서 이것저것 깔짝대다가 검색을 할 일이 있었는데 한글입력이 안되는... 1. scim-hangul 설치(업데이트 및 언어팩 추가 설치해도 이놈은 수동으로 설치해줘야 하는듯 싶다..) $sudo apt-get install scim-hangul 2. 한글 언어팩 설치(이건 우분투 설치 후 시스템-관리-언어 에서 language pack 을 설치하면 된다..) $sudo apt-get install language-pack-ko language-pack-gnome-ko language-pack-gnome-ko-base 3. 재부팅 4. 시스템-관리-언어 에서 키보드 입력 시스템을 scim으로 변경 5. 이제 ctrl + space 로 한/영 전환이 가능하다. 더보기
컴퓨터 업그레이드!! 우선 얻어쓰던 뻑뻑한 키보드에 빡쳐서 irocks 팬타그래프 키보드 구입!! 그리고 vmware 사용할 때 버벅대는 것을 완화시켜줄 램 2기가 추가!! 램 추가 후 내 노트북은 2.49 기가 까지의 램을 사용 가능으로 표시하고 있었다 (32비트에서는 3.2 기가까진가?? 인식한다고 하던데 내 노트북은 펌웨어 버전이 낮아서 2.49기가까지밖에 인식을 못한다고 한다.) 4기가의 램을 모두 사용하기 위해서 64비트 윈도우7을 설치하기로 결정! 거의 모든 셋팅을 마친 현재는... 매우 만족스럽다.. 지금도 vmware로 ubuntu를 돌리면서 동시에 윈도우7을 사용하고 있는데 전혀 불편함 없이 작업을 하고 있다 더보기